설치 환경
OS: Ubuntu 18.04TOOL : VMware
모니털을 위해 LibreNMS 설치 하였습니다.
설치 후 보다 간단하면서 정확한 모니터링을 위해 해당 사이트 구축을 해보겠습니다.
해당 사이트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LibreNMS 설치가 되어있어야합니다.
오늘 포스팅은 우분투에 설치된 LibreNMS 입니다.
아래 링크에 가셔서 설치 먼저 부탁드립니다.
Centos7 - LibreNMS 설치 보러가기
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
Centos - LibreNMS 설치 하기 :: 모니터링 서비스
설치 환경 OS: Centos 7.9 TOOL : VMware DB : MariaDB 모니터링이 가능한 프로그램 LibreNMS 설치 입니다. 설치 순서는 여러 경우로 해봤으나 해당 순서가 가장 최적화되었다고 생각해 정리했습니다. 1. MariaDB.
tistory.bigju.co.kr
Ubuntu 18.04 - LibreNMS 설치 보러가기
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↓
1. 서버 SNMP 설정
1-1. SNMP 설치
sudo apt install -y snmp snmpd
2. SNMP 파일 정리
2-1. 파일 복사
sudo cp /opt/librenms/snmpd.conf.example /etc/snmp/snmpd.conf
2-2. 파일 작성
sudo nano /etc/snmp/snmpd.conf
com2sec readonly default bigju
*bigju는 나중에 쓰일 이름입니다. 기억!
2-3. 적용
sudo curl -o /usr/bin/distro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librenms/librenms-agent/master/snmp/distro
2-4. 권한 설정 및 재시작
sudo chmod +x /usr/bin/distro
sudo systemctl restart snmpd
sudo cp /opt/librenms/librenms.nonroot.cron /etc/cron.d/librenms
sudo cp /opt/librenms/misc/librenms.logrotate /etc/logrotate.d/librenms
2-5 LibreNMS 권한 설정
sudo chown -R librenms:librenms /opt/librenms
sudo setfacl -d -m g::rwx /opt/librenms/rrd /opt/librenms/logs
sudo setfacl -R -m g::rwx /opt/librenms/rrd /opt/librenms/logs
3. 사이트 접속
3-1. 접속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w44g/btrp1acnMuX/a0reuL096aNB6uKJgK96J0/img.gif)
3-2. 서버 추가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6pv9/btrp2B1OgHh/lgOcrviRugrx5mmLDTOx70/img.png)
Device -> Add Device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LIvg/btrpULkQcyP/vilrxY6r2a5yRk4uAWb9C1/img.png)
HostName or IP : 연동 클라이언트 IP
Community : bigju 위에 언급한 이름
-> Add Device 클릭
-> 위에 성공 로그 확인 후
-> Add Device 클릭 ( 2번 클릭 )
4. 서버 추가 확인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jNrC8/btrpW87sRHO/6ktK87bwy7BwBsUtcD7qsk/img.gif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I4PLf/btrp0aKVW0S/WayEI2ymtAuDK4fjy4WRpK/img.gif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ZsNY/btrp18ejnBh/1PJC3SwKqsuDKXIE9NNSZK/img.gif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51Sa/btrpU1OWarq/K2jvBMbI9FzBqaZO1VPVWk/img.gif)
서버에 대한 내용을 수치 및 그래프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
5. Dashboards 설정
5-1. Dashboards 목록 설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18Iu/btrp17Gs9Nw/5kzPdvBNhoCYSO5lKdElv0/img.png)
메인페이지에서 Dashboards 를 추가 해줍니다. + 모양
추가 후
화살표 아이콘 클릭!
5-2. 그래프 설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ClYbx/btrp1HuqCnk/RiJHJnYJRJpEIpXnEcL101/img.png)
서버 트래픽 내용을 보기위해서 Graph 선택
5-3. 서버 내용 작성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5auU/btrpWzRY0KE/wEdH9Rtz3L9zi37gIGVyKK/img.gif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OFAh/btrp0lSYvRF/BhLKsj41OhJpXJhkccQdLk/img.gif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kV7F/btrpW8TUR9f/YHSXiGmhe8hMg7BVnApK6K/img.gif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wWr7r/btrpU4j9NLh/K7vAjz6Rhlmp8JnTqLPtb1/img.gif)
6. 완성
6-1. 이렇게 여러가지 모니터링을 설정 할 수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YW36/btrp18k36SQ/YCXiFPxkms3PfbLgIcyK30/img.gif)
Big Ju
LibreNMS 설정
'모니터링 > LibreN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breNMS - GNS3 연동 :: 스위치 연결 후 모니터링 (0) | 2022.01.12 |
---|---|
LibreNMS - GNS3 연동 :: 스위치 연결 후 모니터링 (0) | 2022.01.12 |
Ubuntu - LibreNMS 설치 하기 :: 설치 후 GUI 세팅 (0) | 2022.01.10 |
Centos - LibreNMS 설치 하기 :: 설치 후 GUI 세팅 (0) | 2022.01.06 |
Centos - LibreNMS 설치 하기 :: 모니터링 서비스 (0) | 2022.01.05 |
댓글